[기획연재] 돼지의 안녕이 지구의 건강으로... 원헬스를 향한 우리의 선택
지구가 기후 위기와 생물 다양성 위협에 직면한 지금, 농업과 축산업은 지속가능성의 전환점에 서 있다. 특히 대규모 밀집형 양돈 방식은 낮은 비용으로 생산성을 높였지만, 그 이면에는 환경오염, 항생제 남용, 지역사회 갈등, 공중보건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이제 ‘동물복지를 적용한 양돈 방식’은 단순한 윤리적 선택을 넘어, 환경과 사람, 동물의 건강을 한데 아우르는 ‘원헬스(One Health)’의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 기획연재의 마지막 편에서는, 네덜란드와 독일 현장에서 확인한 구체적인 사례와 가능성을 바탕으로 동물복지 전환이 환경 부담 완화, 인체 건강 보호, 농가 및 지역사회에 어떤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본다. 1. 밀집 사육의 그림자: 우리 땅과 물이 겪는 고통 분뇨 발생량과 처리 방식의 한계 2023년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연간 발생하는 가축분뇨 약 5,087만 톤 중 돼지 분뇨는 1,967만 9천 톤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한다. 이 분뇨의 대부분은 퇴비·액비화되어 농지에 살포되는데, 과도한 토지 환원은 질소와 인의 과잉 유입을 초래해 수질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위험을 안고 있다. 온실가스와 악취 문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