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가 축사화재 예방체계를 '위험한 곳부터' 선별·집중 대응하는 방식 등으로 전면 개편해 주목됩니다.

전북특별자치도(이하 전북도)는 화재위험이 높은 축사를 선별해 등급별로 집중 관리하고, 화재 통계와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실효성 있는 예방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24일 밝혔습니다.
전북도는 소방본부를 통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 비중이 큰 돈사·계사 1,962개소를 대상으로 노후도, 건축 규모, 동 간 거리, 소방관서 접근성, 화재안전조사 점검 이력 5개 항목을 계량화해 화재위험등급 A부터 D등급으로 분류했습니다.
그 결과 A등급 2개소, B등급 285개소, C등급 725개소, D등급 950개소로 집계되었습니다. 실제, 2024년 돈사와 계사에서 발생한 21건 중 85%가 C·D등급에서 발생해 고위험 축사를 중심으로 한 집중 관리의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시켰습니다.
전북도는 올해부터 화재안전조사, 현장방문행정, 순찰 및 훈련 등 주요 활동을 이들 C·D등급 축사를 중심으로 실시합니다. 특히 D등급 대형축사는 산불예방순찰과 연계해 집중 점검합니다. 훈련은 연 1회 소방용수와 출동로 확인 등 실질적 대응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또한, 가축 질병 발생 시 현장 접근이 제한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ASF, 고병원성 AI 등 위기 상황에 대비한 단계별 맞춤형 대응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위기 단계에 따라 화재안전조사, 현장방문행정, 현지적응훈련, 화재예방순찰 등을 탄력적으로 조정해 운영합니다.
그간 소방서 주도의 별도 교육으로 이뤄졌던 소방안전교육은 올해부터 축산 종사자 정기교육 시기에 맞춰 소방안전강사가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개선합니다.
이와 함께 B~D등급 축사를 대상으로 한 소방시설 보강 및 교체 지도도 강화합니다. 건축허가 동의, 간담회, 현장방문 시 노후 소화기 교체, 소공간용 소화용구, 아크차단기 등 설치를 권고하고, 쥐 등에 의한 피해 우려가 있는 전선은 배관공사를 안내하는 등 안전관리 지도를 병행합니다. 또한 불연성 보온재 사용과 동 간 이격거리 확보도 함께 안내합니다.

아울러 도 축산과는 ‘2025년 축사시설 화재안전시스템 지원 사업’도 병행 추진합니다. 돈사·계사 등 화재에 취약한 축사시설을 우선 지원 대상으로 하며, 축산업 허가·등록 농가를 대상으로 개소당 최대 400만 원 한도로 감지설비 및 아크차단기 설치 등을 지원합니다.
끝으로 전북도는 이번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전북특별자치도 축사시설 화재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를 오는 올해 하반기 제정할 계획입니다. 조례안에는 도지사의 책무, 화재예방계획 수립, 안전시설 지원, 종사자 교육 등 예방행정 전반에 대한 사항이 담길 예정입니다.
이오숙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장은 “축사는 구조적·환경적으로 화재에 취약한 시설인 만큼, 위험도를 정확히 진단하고 등급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이번 대책은 단순한 점검을 넘어, 위험도 기반의 대응체계와 유관기관 협업을 통해 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예방행정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