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에서 부족한 도축검사관 역할을 민간수의사에게 위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서 주목됩니다.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소장 정창근)는 최근 수의직 공무원 결원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인력 확보 방안으로 닭·오리·염소 등 소규모 도축장에 대해서는 민간수의사 중 도축 업무에 전문성이 있는 자를 공수의 검사관으로 선발하여 도내 5개 도축장(가금류 4곳, 포유류 1곳)의 검사관 업무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시험소에 따르면 민간수의사에게 공적 업무 수행을 맡기는 것은 ‘도축검사 공영제’에 역행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으나,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확대 시행한 결과, 전문성을 가진 민간 수의사와의 협업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평가입니다.
도축검사관의 임무는 ▶작업장 안전관리 인증기준(HACCP) 운용실태 점검 ▶가축의 생체검사, 해체검사, 축산물 식용 적합 합격 처리 ▶부적합 식육의 폐기조치 ▶식육의 안전성 검사로 항생제 잔류물질 검사, 식중독균 등 미생물 검사 등 안전성이 확보된 식육만 유통되도록 엄격히 관리하는 막중한 역할입니다.
현재 경남에는 11개 도축장이 있으며 14명의 검사관이 근무 중입니다. 이들은 올해 평균 하루 소 600여 마리, 돼지 8500여 마리, 닭·오리 6만여 마리에 대해 도축검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물위생시험소 관계자는 “도축되는 가축의 도축검사는 공중보건상 중요업무이며 축산물의 안전한 생산과 관리가 담보되어야 하는 공공성의 대표 영역으로 민간 검사관에 대한 엄격한 근무지침 적용과 정기적인 점검 결과 문제없이 운영되고 있어 민관 협업의 대표적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시험소는 내년에도 민간수의사 위촉에 있어서 공개적이고 객관적인 선발과 근무 기한 명시 등 엄격한 적용으로 이번 제도가 효율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철저히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