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구름많음대관령 24.3℃
  • 구름많음북강릉 32.0℃
  • 맑음강릉 33.1℃
  • 맑음동해 31.3℃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원주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안동 30.2℃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맑음고산 28.9℃
  • 맑음서귀포 30.8℃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많음이천 29.0℃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맑음김해시 31.5℃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봉화 27.9℃
  • 맑음구미 31.4℃
  • 맑음경주시 31.7℃
  • 맑음거창 30.2℃
  • 맑음합천 31.1℃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세바코리아

흉막폐렴 백신 선택, 혈청형이 가장 중요한 기준일까?

세바코리아 농장동물사업부(ceva.korea@ceva.com)

돼지 흉막폐렴은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세균성 호흡기 질병으로, 전 세계 주요 양돈 산업 국가에서 널리 만연해 있다. 미국의 경우, 흉막폐렴이 육성 및 비육 구간에 영향을 미쳐 연간 약 4,160억 ± 3,900억 원(미화 약 32 ± 30백만 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Losinger, 2005). 이 질병은 흉막폐렴균이 생성하는 Apx 독소로 인해 항생제 치료만으로는 충분한 컨트롤이 어렵고, 비용 대비 효율도 낮아 백신 접종이 효과적인 예방 전략으로 권장된다.

 

혈청형만을 기준으로 흉막폐렴 백신을 선택해서는 안 된다!

최근 세바코리아 카카오채널을 통해, “농장에 존재하는 혈청형이 반드시 포함된 흉막폐렴 백신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으로 현장의 생각을 조사해 보았다. 이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약 49.5%가 “그렇다”고 응답하여, 여전히 많은 현장에서 혈청형을 백신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흉막폐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혈청형보다 Apx I, II, III 독소에 대한 방어 능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흉막폐렴균은 현재 19개 혈청형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아직 미분류 혈청형이 존재한다. 혈청형의 분포와 유행 양상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래서 과거에는 드물게 나타났던 혈청형이 나중에 중요한 혈청형으로 부상하기도 한다. 또한 하나의 돈군에서 여러 혈청형이 동시에 확인되는 경우가 많으며, 동일한 농장이나 개체에서 복수의 혈청형이 공존할 수도 있다(Broes A et al., 2007; Sárközi et al., 2018). 동일 농장 내에서도 모돈과 비육돈에서 서로 다른 혈청형이 분리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농장 내에서 일부 혈청형만을 특정해 해당 균체가 포함된 균체(박테린) 백신이나 자가백신으로 흉막폐렴을 방어하려는 방식은 위험성이 크다. 특히 이러한 백신들은 톡소이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흉막폐렴 컨트롤의 핵심인 Apx 독소에 대한 방어 능력이 전혀 없으므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흉막폐렴 백신 선택 시, 혈청형보다 중요한 것은 Apx 독소!

Apx I, II, III 독소는 용혈성과 세포독성을 통해 세포막에 구멍을 형성하며, 대식세포와 다핵형 과립구의 식작용 및 화학작용을 손상시켜 면역 회피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내피세포와 적혈구를 포함한 폐 조직 세포를 용해시켜 흉막폐렴균의 영양분 획득을 돕는 동시에 LPS와 함께 심각한 조직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Apx I, II, III 독소는 흉막폐렴균이 혈청형에 따라 서로 다른 조합으로 생산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혈청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흉막폐렴을 유발하는 독소는 Apx I, II, III 세 가지로 한정된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독소에 대한 방어가 가능하다면 혈청형과 관계없이 흉막폐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돼지를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농장의 수익성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px I, II, III에 대한 항체 형성을 유도하는 백신을 ‘톡소이드 백신’이라고 한다. 톡소이드 백신은 동일한 흉막폐렴 혈청형에 의한 감염에서도 균체(박테린) 백신보다 더 강력하고 높은 수준의 능동 면역을 제공한다.

 

세바(CEVA)의 돼지 흉막폐렴 백신 ‘코글라픽스’는 다양한 혈청형의 흉막폐렴균 균주에 대해 우수한 보호 효과와 긴 지속성이 확인되었으며, 전세계 여러 환경 조건에서도 돼지 흉막폐렴 예방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제품이다(더 알아보기).

 

 

 

유럽이 인정한 흉막폐렴 백신 '코글라픽스'

▶ 흉막폐렴에 의한 폐사율과 증체율 개선

▶ 독소 방어: Apx I, II, III 독소 방어 검증

▶ 안전성: 접종 후 안정적인 사료 섭취와 컨디션

▶ 개선된 호흡기 상태: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을 통해 폐 병변 개선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2,961,443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