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대관령 10.0℃
  • 북강릉 14.9℃
  • 흐림강릉 15.7℃
  • 흐림동해 15.1℃
  • 흐림서울 16.5℃
  • 흐림원주 15.8℃
  • 수원 17.3℃
  • 흐림대전 19.4℃
  • 안동 16.9℃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맑음고산 26.8℃
  • 구름조금서귀포 26.1℃
  • 흐림강화 15.4℃
  • 흐림이천 16.2℃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김해시 21.3℃
  • 흐림강진군 23.0℃
  • 흐림봉화 15.6℃
  • 흐림구미 18.3℃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창 18.8℃
  • 흐림합천 19.9℃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세바코리아

조용하지만 매우 위협적인 '흉막폐렴', 톡소이드 백신으로 예방하자!

세바코리아, 지난 23일 ‘환절기 흉막폐렴 컨트롤 전략: 항생제의 한계, 톡소이드 백신의 기회’ 주제로 웨비나 개최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지난 23일 ‘환절기 흉막폐렴 컨트롤 전략: 항생제의 한계, 톡소이드 백신의 기회’를 주제로 온라인 웨비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웨비나는 가을철 호흡기 질병 발생이 증가하는 시기에 양돈농가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항생제 중심의 기존 치료 체계를 백신 기반 예방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강조됐습니다.

 

첫 발표를 맡은 정병열 박사(한국동물용의약품평가연구원 고문)는 돼지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은 세포를 파괴하는 독소(ApxI, II, III)를 분비하는데, 이 독소가 실제 폐 손상과 급성 폐사의 주요 원인이며 균 자체보다는 독소에 대한 면역이 병변을 막는 핵심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 박사는 특히 사균(균체) 백신은 균의 부착을 억제하지만, 혈청형 간 교차방어가 약해 예방효과가 제한적이며 반면 Apx가 첨가된 톡소이드(toxoid) 백신은 독소를 불활화해 병변을 직접 차단하고, 다양한 혈청형에서 교차방어 능력을 갖춘다는 점에서 흉막폐렴 예방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전했습니다.

 

 

정병열 박사는 "흉막폐렴 톡소이드 백신의 경우 사균 백신과 비교해 교차 방어능이 우수하고 임상증상을 감소시키며,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장점이 상당히 많다"라며, "일선 농가에서 이를 이용해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발표한 박새암 팀장(세바코리아 기술지원팀)은 항생제 내성과 만성 감염 문제를 지적하며, 흉막폐렴 관리 전략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박 팀장은 흉막폐렴균은 바이오필름을 형성해 항생제 내성을 키우고, 만성적으로 피해를 일으키며 항생제에 의존한 치료만으로는 감염원을 제거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혈청형이 달라도 Apx 독소는 유사하게 폐와 조직을 손상시키고 폐사를 유발하기 때문에, 독소 방어 중심의 톡소이드 백신 전략이 더 효과적이며, 세바의 ‘코글라픽스(CoglapiX)’는 Apx I·II·III 독소를 모두 방어하고, 양돈 현장에서 폐사율과 병변율을 모두 낮춘 결과를 보였다라고 소개했습니다.

 

아울러 박 팀장은 세바의 호흡기 질병 관리 프로그램(CLP: Ceva Lung Program)을 통해 도축장 폐병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병 지수를 수치화해 농장 손실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흉막폐렴 예방 효과와 생산성 개선을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관리체계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새암 팀장은 "항생제로 흉막폐렴을 컨트롤하기 어렵다는 점은 모두 공감하는 바"이라며, "이제 인식을 전환해서, 치료보다 예방과 방어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코글라픽스로 흉막폐렴을 컨트롤 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웨비나 영상은 세바코리아 유튜브 채널(바로가기)을 통해 추후 다시 볼 수 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3,494,226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