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가 중국발 아프리카 돼지열병(이하 ASF)에 보다 적극적인 대응 태세에 나섰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중국에서 ASF가 이달에만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세 차례나 발생함에 따라 국경검역을 한층 강화하고 국내 양돈농가의 차단방역과 예찰 등 ASF 예방강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지난 3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 양돈장에서 ASF가 첫 발생하자 즉시 여행객 및 축산관계자를 대상으로 국경검역을 강화하였습니다.

ASF 대응 국경검역 강화
외교부의 협조를 통하여 중국, 동유럽 등 ASF 발생국을 방문하는 여행자에게 돼지농장 등 축산시설 방문 자제와 축산물 국내 반입금지를 홍보하고 있으며, 전국 공·항만에서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여행객 휴대품에 대하여 검역탐지견을 집중투입하고 세관과 합동으로 X-ray 일제검사(1∼2편/일)를 실시하는 등 검색 강화에 나섰습니다.

아울러 중국 등 ASF 발생국을 포함한 항공기내 남은음식물 처리실태와 전국 공·항만 남은음식물처리업체 전체 27개소에 대한 관리실태 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 공·항만 내에 홍보모니터, 전광판을 활용하여 축산관계자와 일반여행객에게는 축산농가와 가축시장 방문 금지 및 축산물 반입금지 등의 여행객 준수사항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ASF 관련 국내 차단방역 강화
한편 국내 양돈농가에 대해서는 ASF 유입예방을 위하여 각 지자체와 대한한돈협회를 통해 소독 등 차단방역과 관련 교육·홍보를 실시하는 등 국내방역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전국 남은음식물 급여 돼지농가에 대한 열처리 등 적정처리 후 급여여부에 대한 지도·점검을 9월말까지 전체 농가에 대하여 실시할 계획입니다.

농식품부는 국내 ASF 발생시 신속대응을 위한 ASF 긴급행동지침 마련 등 관련규정을 정비하였습니다. 또한, ASF 유입 예방관리를 위하여 관계기관과 전문가 등으로 T/F팀을 구성해 해외 ASF 발생동향 및 국내에 유입 가능성 등 방역대책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미진한 부분은 보완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농식품부는 "ASF는 치사율이 매우 높고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국내 유입 시 양돈산업에 큰 피해 발생이 우려된다"며 "차단방역을 철저히 하는 가운데 ASF 의심축 발견 시 방역기관에 신속한 신고를 당부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