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대관령 -1.7℃
  • 북강릉 1.0℃
  • 흐림강릉 1.3℃
  • 흐림동해 3.1℃
  • 서울 3.2℃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대전 3.3℃
  • 안동 4.5℃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고산 10.9℃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강화 2.2℃
  • 흐림이천 3.7℃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김해시 7.1℃
  • 흐림강진군 8.7℃
  • 흐림봉화 5.0℃
  • 흐림구미 5.8℃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창 4.2℃
  • 흐림합천 7.3℃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환경부, 과거 태도 논란....밉지만 지금은 성공 바랄 상황

환경부, 과거 ASF 관련 야생멧돼지 대책에 미온적...지금에서야 뒤늦은 대처, 반드시 성공해야

우리나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사태가 한 달을 넘어 두 달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야생멧돼지에서 ASF 감염이 연달아 확인되자 야생멧돼지의 관리 주체인 환경부의 과거 발언이 재조명되며 양돈산업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ASF 첫 확진은 지난달 17일의 일이었습니다. 현재까지 14건의 양돈농가에서 ASF 발병이 확인되어 15만4천 두의 돼지를 땅에 묻었습니다. 방역당국은 ASF 발생지역인 강화에 이어 김포·파주·연천의 전체 돼지에 대해서는 수매·도태 조치를 단행했습니다. 전체 대상이 151호 21만7천 두에 달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야생멧돼지에서 감염이 확인되어 이번 ASF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민통선 아래에 까지 감염멧돼지가 발견되고 있어 한돈산업은 야생멧돼지로 현재 자칫 ASF의 장기화 혹은 상재화 위기 국면에 놓여 있습니다. 

 

환경부는 지난 13일 감염멧돼지가 확인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도와 강원도를 ▶감염위험지역 ▶발생‧완충지역 ▶경계지역 ▶차단지역 등 4개 관리지역으로 나누어 대대적인 야생멧돼지 포획과 감시에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ASF 발병 이전부터 야생멧돼지 감축 등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주장해 온 한돈산업은 뒤늦은 조치라며 분통을 넘어 분노했습니다. 한돈산업이 ASF로 망한다면 환경부가 책임질 일이라는 성토가 이어졌습니다. 

 

 

일반언론도 이에 가세하고 나섰습니다. 연일 환경부의 안일한 인식과 태도를 지적했습니다. 이 때문에 환경부 또한, 해명자료를 내는 등 연일 진땀 흘리는 모습입니다. 

 

 

이런 가운데 ASF 확진 두 달 전인 7월 19일 환경부의 해명자료가 온라인 한돈산업 커뮤니티에서 새삼 화제입니다. 이날 해명자료에서 환경부는 'ASF에 대비하기 위해 멧돼지 개체수를 대대적으로 감축(1/3수준 등)하는 것은 몇 가지 이유로 타당성과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관련 첫 공개적인 입장 표명이었으며, 환경부는 최근까지도 같은 입장을 견지해 왔습니다. 감염멧돼지가 민통선 인근에서 발견되기 전까지 말입니다. 

 

 

당시 환경부는 ▶멧돼지로부터 사육돼지로 ASF가 전파된 사례가 미미하고(러시아의 경우 1.4%, 그 외 유럽·아시아의 경우 확인된 바 없음) ▶멧돼지 개체수 저감을 위해 대대적 사냥에 나설 경우 멧돼지의 이동성이 증가해 바이러스 확산에 기여하게 되고(러시아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실패 요인으로 지목) ▶멧돼지는 번식력이 강하고 위협을 받을 경우 출산을 확대(연 1회 출산 → 2회 출산)하므로 개체수 저감이 쉽지 않아(유럽의 경우 멧돼지 개체수 조절 성공사례 없음) ▶ASF 방역을 위해서는 멧돼지와 사육돼지 간 접촉 가능성 차단이 중요하며,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ASF 관련 멧돼지 관리에 대한 별도의 권고사항이 없는 실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급기야 환경부는 이번 ASF가 첫 확진이 이루어진 9월 17일 다음날에도 '환경부 비상대응반이 파주 발생 농가 주변 현황을 긴급 점검한 결과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며 성급한 의견을 내었습니다. 그리고 두 달 후인 10월 17일 파주 장단면 거곡리에서도 감염멧돼지가 확인되었습니다. 최초 확진 농장과는 15km 거리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22일 오늘 철원군 원남면에서 12번째 감염멧돼지 폐사체가 추가 확인되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은 한돈산업은 분노를 잠시 접고 환경부의 야생멧돼지 관리 대책이 반드시 성공하기를 바라는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여전히 이번 ASF 사태의 발생 및 전파 원인에 대해 북한 유래 가능성을 포함해 다각도로 조사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8,988,418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