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구름많음동두천 11.9℃
  • 구름조금대관령 4.6℃
  • 구름조금북강릉 9.1℃
  • 구름조금강릉 11.9℃
  • 구름조금동해 12.1℃
  • 구름많음서울 13.0℃
  • 맑음원주 10.0℃
  • 구름많음수원 11.7℃
  • 맑음대전 11.6℃
  • 구름조금안동 10.4℃
  • 맑음대구 12.2℃
  • 맑음울산 12.1℃
  • 맑음광주 15.4℃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2.5℃
  • 맑음제주 15.7℃
  • 맑음고산 16.4℃
  • 맑음서귀포 15.6℃
  • 구름많음강화 8.5℃
  • 구름조금이천 10.0℃
  • 맑음보은 10.3℃
  • 맑음금산 10.4℃
  • 맑음김해시 14.3℃
  • 맑음강진군 10.9℃
  • 구름많음봉화 6.0℃
  • 맑음구미 9.2℃
  • 맑음경주시 10.9℃
  • 맑음거창 8.6℃
  • 맑음합천 10.2℃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한 장의 사진] ASF 국내 발생 어느덧 1년이 되었다

지난해 9월 16일 ASF 첫 발생 후 1년 경과...수많은 눈물과 한숨, 고통 위에 지속된 ASF 방역, 근본적인 대책 필요


지난해 9월 16일 우리나라에서 ASF가 처음으로 발생했습니다. 정부는 ASF 확산 차단을 이유로 접경 및 인접지역 양돈농가와 관련 산업, 해당 지역에 많은 희생과 고통을 수반한 방역조치를 요구하였습니다. 전 세계 유사한 사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모질고 혹독했습니다. 

 

불행히도 2020년 9월 16일 오늘 ASF 사태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외려 야생멧돼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끄럽게도 정부는 지난해 10월 9일 이후 일반돼지에서 추가 발생이 없다며, 'K-방역'의 성공으로 대내외적으로 자랑하고 있습니다. 

 

ASF 사태 1년을 맞아 정부는 그동안 양돈농가의 눈물과 한숨, 희생을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책에 반영해야 합니다. 덧붙여 앞으로 ASF 종식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조속히 내놓을 것을 바랍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3,657,780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