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대관령 20.9℃
  • 구름많음북강릉 24.7℃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동해 24.6℃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원주 24.9℃
  • 맑음수원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안동 25.6℃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많음서귀포 20.3℃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이천 25.1℃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김해시 23.5℃
  • 맑음강진군 22.8℃
  • 맑음봉화 24.8℃
  • 맑음구미 26.7℃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창 26.8℃
  • 맑음합천 26.4℃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포획 멧돼지 ASF 검사 비율 5% 지적에..노력하겠다는 환경부

YTN, 25일 환경부 ASF 비발생지역 포획 멧돼지 검사 비율 문제점 지적...환경부, 상황에 따라 확대 표명

YTN이 환경부의 멧돼지 검사 비율의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관련 기사). 

 

 

YTN은 지난 25일 'ASF 감염지역 제대로 파악했나...포획 멧돼지 검사 신뢰도 논란'이라는 보도를 통해 '환경부가 ASF 비발생지역 내 포획된 멧돼지에 대해서는 5% 정도의 표본 검사를 실시해 ASF 확산 지역 파악에 헛점이 있다'며, 이에 '신속한 감염지역 파악을 위해 검사 비율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이같은 지적은 한돈산업 내부에서 오래 전부터 있어 왔습니다. 대표적으로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선일 교수입니다.

 

 

박 교수는 지난해 10월 열린 한국양돈수의사회 연례세미나에서 '환경부의 비발생지역 야생멧돼지 대상 5% 표본 검사에 대해 감염멧돼지를 검출하는데 실패할 확률이 70~80%에 이를 것'이라며, '이를 개선하지 않을 시 ASF 야생멧돼지의 확산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실제 발표 두 달 후 강원도 영월과 양양 등 기존 발생지와 각각 82km, 34km 떨어진 지점에서 감염 멧돼지가 확인되었습니다. 전혀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이날 YTN의 보도에 환경부는 빠르게 반응했습니다. 환경부는 폐사체에 대해서는 전국적으로 전수검사('19.10.3~)를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포획개체에 대해서는 검사를 늘리겠지만, 전수검사는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환경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ASF 검출률이 낮은 포획 개체에 대해서는 발생지역 및 인접 경기도 4개 시군(의정부, 남양주, 양주, 동두천), 강원도 5개 시군(홍천, 횡성, 평창, 강릉)과 최근 ASF가 발생한 영월과 제천, 단양, 충주 지역까지 전수 검사 중이다"며, "야생멧돼지 ASF 발생 상황에 따라 검사지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참고] 국내 ASF 실시간 현황판(바로가기)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2,103,568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