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19.1℃
  • 맑음대관령 15.2℃
  • 맑음북강릉 20.0℃
  • 맑음강릉 21.8℃
  • 맑음동해 18.4℃
  • 맑음서울 18.1℃
  • 맑음원주 19.0℃
  • 맑음수원 18.8℃
  • 맑음대전 19.9℃
  • 맑음안동 19.4℃
  • 맑음대구 19.7℃
  • 맑음울산 21.1℃
  • 맑음광주 19.8℃
  • 맑음부산 20.6℃
  • 맑음고창 19.8℃
  • 맑음제주 20.0℃
  • 맑음고산 17.2℃
  • 맑음서귀포 18.7℃
  • 맑음강화 15.4℃
  • 맑음이천 19.6℃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1.0℃
  • 맑음김해시 21.1℃
  • 맑음강진군 22.6℃
  • 맑음봉화 18.2℃
  • 맑음구미 20.8℃
  • 맑음경주시 21.9℃
  • 맑음거창 21.7℃
  • 맑음합천 21.3℃
  • 맑음거제 20.1℃
기상청 제공

[초록] 우리나라 여름철 열 스트레스, 난소 아로마타제 발현 감소

한국의 여름철 더위 스트레스가 모돈의 난소 아로마타제 발현과 에스트로겐 합성에 영향 미침

우리나라 여름철 높은 대기 온도로 인한 '열 스트레스'가 생식 호르몬 분비 장애를 유발해 난소 주기 이상, 수태율 저하, 산자수 감소 등을 유발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을 에스트로겐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난소 아로마타제(ovarian aromatase)' 발현의 계절적 변화(봄과 여름)를 비교하고자 했습니다.

 

여름 그룹의 혈청 에스트로겐 수치는 봄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지만, 테스토스테론은 그룹 간 차이가 없었습니다. 에스트로겐 수치와 마찬가지로 난포기의 여름철 '난소 아로마타제' 발현은 봄철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습니다. 난소 아로마타제 발현은 혈청 에스트로겐 수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689; P=0.008)를 보였으며, 대기 온도와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r=-0.533; P=0.078)가 확인되었다. 난소 아로마타제 발현은 미성숙 난소 난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두 계절 모두 '과립구 세포층(granulosa cell layers)'에 특이적으로 국한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과립구 세포층의 아로마타제 강도는 여름보다 봄에 더 강했습니다.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그룹 간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여름철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은 것은 기질 부족이 아니라 열 스트레스에 의한 난소 아로마타제 발현 저하로 인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모돈의 여름철 불임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여름철 체온 조절 등 사육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본 연구결과가 번식생물학 및 축산업 분야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논문 원문(바로가기), Heat stress during summer reduced the ovarian aromatase expression of sows in Korea, Hwan-Deuk Kim(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외, 한국동물위생학회, 2023]

 

번역 및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1,986,347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