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은 지난해 12월 향후 5년내 대체육 등 푸드테크 기업 30개를 육성하겠다는 내용 등을 담은 '푸드테크 산업 발전 방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그 일환으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20일 푸드테크 분야 중소식품기업의 융복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푸드테크 계약학과’를 4개소에서 8개소까지, '27년까지는 12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푸드테크 계약학과는 2020년 식품기업의 요구로 식품기업 종사자의 직무 역량 강화 등을 위해 시작됐으며, 현재 서울대, 고려대(세종), 한양대, 경희대 등 4개 대학(총 78명)에서 석사과정으로 운영 중입니다.
농식품부는 현재 수도권 대학에 편중되어있는 계약학과를 지방 거점대학으로 확대하여 지역 중소식품기업의 푸드테크 산업 참여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이달 8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신규 4개 대학 모집 공고 중입니다.
응모 대상은 '고등교육법' 제2조제1호의 대학(산업대, 전문대 등 제외)으로 ’23년 하반기 푸드테크 분야 석사 또는 학사(3학년 편입) 과정 개설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대학별 20명).

계약학과 운영대학에는 학과운영비(학기당 3천 5백만 원 내외)이, 학생에게는 등록금의 65%가 지원됩니다. 또한 기업의 현장 애로기술을 해결할 수 있는 과제 수행비(연간 6천만 원 내외)도 지급될 예정입니다.
양주필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푸드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전문인력 양성과 지역 중소식품업체의 푸드테크 산업 참여 유도를 위해 2027년까지 계약학과를 12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말하며,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성장을 이끌 대학의 많은 참여를 희망한다”라고 당부했습니다.
한편 '푸드테크(Foodtech)'는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 전반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바이오기술(BT) 등 첨단기술이 결합된 신산업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식물성 대체식품, 대체육, 식품프린팅, 온라인 유통플랫폼, 무인 주문기(키오스크), 배달·서빙·조리 로봇 등이 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