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6.8℃
  • 맑음대관령 -1.8℃
  • 맑음북강릉 5.6℃
  • 맑음강릉 7.1℃
  • 맑음동해 5.6℃
  • 맑음서울 10.0℃
  • 맑음원주 6.2℃
  • 맑음수원 7.1℃
  • 맑음대전 8.0℃
  • 맑음안동 5.5℃
  • 맑음대구 10.2℃
  • 맑음울산 8.5℃
  • 맑음광주 9.1℃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5.2℃
  • 맑음제주 11.2℃
  • 맑음고산 11.4℃
  • 맑음서귀포 13.8℃
  • 맑음강화 7.0℃
  • 맑음이천 7.5℃
  • 맑음보은 4.5℃
  • 맑음금산 4.7℃
  • 맑음김해시 10.9℃
  • 맑음강진군 6.1℃
  • 맑음봉화 1.7℃
  • 맑음구미 7.8℃
  • 맑음경주시 8.3℃
  • 맑음거창 4.7℃
  • 맑음합천 7.6℃
  • 맑음거제 11.1℃
기상청 제공

어딜 숨어!...우리 산지에 적합한 멧돼지 탐지법 나왔다

국립생물자원관, 드론을 이용한 멧돼지 탐지 표준화 기법 개발...멧돼지의 위치 정보 및 행동 특성 파악, 보다 효과적인 ASF 방역 지원 기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첨단 무인기(드론)'를 이용, 우리나라 산지에 적합한 멧돼지 탐지 표준화 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멧돼지 통제 관리에 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먼저 멧돼지 탐지에 있어 촬영 간격 50m, 비행 고도 100~120m, 비행 속도 3m/s, 촬영 각도 90°로 미리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한 후 촬영하는 자동 비행경로 설정을 통해 멧돼지를 탐지하는 것이 멧돼지 개체 탐지율을 가장 높이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를 통해 올해 4월까지 열화상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으로 ASF 발생 지역인 경북 상주와 강원도 횡성에서 총 21마리의 멧돼지를 확인했습니다. 이들이 일몰 전(15:00~18:00)에는 이동과 먹이 활동을 주로 하고 일출 후(7:00~9:00)에는 주로 휴식을 취하는 행동 특성을 관측했습니다. 

 

이어 5월에는 멧돼지 출몰 지점의 서식환경을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레이저 펄스 이미지화 기술) 센서가 달린 드론으로 촬영하여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멧돼지는 수목이 무성한 지역의 경사가 조금 높은 능선을 ‘이동’해 수목이 적고 경사가 완만한 지형에서 ‘먹이활동’을 한 후 수목이 무성한 나지막한 산지인 구릉지의 주변에서 ‘휴식’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에 첨단 센서를 탑재한 드론 기반의 멧돼지 탐지 표준화 기법을 개발함에 따라 멧돼지 분포 측정(모니터링) 및 서식지 분석 연구에 박차를 가해 야생멧돼지 피해를 선제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찾아낼 계획입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관장은 “드론을 이용해 급경사지와 같은 접근 위험 및 불가 지역의 멧돼지 서식밀도를 파악하고, 현장 조사 기반의 서식밀도 결과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과학적인 자료 기반의 서식지 분석으로 멧돼지의 서식특성을 파악하여 수색, 울타리나 포획기구 위치 선정 등에서 보다 효과적인 ASF 방역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2,082,448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