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판을 통해 한돈산업 관련 월별 일별 주요 정보와 단신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
◆이달의 주요 행사 및 일정
- 16일 2025년 농업전망대회(잠실 롯데호텔 월드 크리스탈볼룸)
- 20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25년 1월 등급판정두수 및 도매가격, 수입육, 소매가격, 한돈재고동향, 소비자심리지수 요약
◆ 이달의 한돈산업 관련 주요 단신
- 2일 기획재정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1.8%로 전망...수출 증가율 둔화 및 내수 비관적 전망 등
- 4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국가애도기간 종료(12.29~)
- 9일 농림축산식품부, '2025년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 발표...돼지고기 평시 대비 1.13배 공급 확대
- 9일 유엔 '한국 성장률 세계 성장률 2.8%보다 낮은 2.2%로 전망'
- 11일 농림축산식품부, 독일산 돼지고기 수입금지 조치(10일 물소서 구제역 발생 확인)
- 12일 통계청, 지난해 1∼11월 소매판매액 지수 전년 대비 2.1% 감소...21년 만에 최악
- 14일 정부, 이달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설 연휴 6일로 확대(1.25-30)
- 16일 한국은행, 기준금리 3.0%로 유지...원달러 환율 감안
- 2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 20일 경기 양주 사육돼지(5232두 규모) ASF 발생...경기 7개 시군 24시간 스탠드스틸 발령
- 20일 한국은행, 올해 국내 GDP 성장률 전망치 1.9%에서 1.6~1.7%로 하향 조정...계엄 등으로 경제심리 약화
- 22일 한국은행 '25년 1월 소비자심리지수 91.2로 전월보다 3.0포인트 상승...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 등 반영
- 23일 통계청 지난해 11월 출생아수, 5개월 연속 증가세....14년 만에 최대
- 28일 경기 양주 은현면 사육돼지(4,450두 규모) ASF 발생...경기 7개 시군 24시간 스탠드스틸 발령
☞2024년과 2025년 주차별 평균 돈가('23년은 같은 기간)
☞월별 등급판정두수(단위 천두) 및 평균 가격(단위 원)@돼지와사람 편집
◆ 이달의 일별 도매가격, 경매두수, 등급판정두수 추이
- 경매가격과 경매두수는 등외 및 제주 제외임
-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바로가기)
- 축산물품질평가원 통계월보·연보(바로가기)
-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시황정보(바로가기)
- 월간육류유통(바로가기)
- 한이음 축산 유통 정보(바로가기)
※ 1월 6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구이류는 대형마트에서 할인행사가 진행되어 납품이 일부 있었으나, 정육점 수요는 부진이 계속되었다. 외식수요도 불경기 및 정국불안 상황에 비행기 추락사고로 인한 국가 애도기간 지정으로 더욱 부진해지는 등, 대부분 유통경로에서의 수요부진으로 덤핑이 심화되며 삼겹살과 목심 모두 고돈가에도 불구하고 일부 냉동생산하고 있다. 정육류에서 전지는 급식납품이 거의 중단되었고 일반 수요도 약해 일부 냉동생산하고 있으며, 등심은 보합세를 보였고 후지만 여전히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갈비는 최종 수요가 아직 크지 않으나 명절 준비수요로 인해 강세를 보였다. 12월 4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이 40원/kg 하락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삼겹살과 목심이 하락하였고 갈비가 상승하였다.
▶수입산 냉장 구이육은 외식소비가 계속 부진한 가운데 12월 넷째주 금요일에 한꺼번에 입항된 물량과 1월 첫째주 입항물량 처리를 위해 대형마트 및 온라인 할인행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냉동 구이육은 12월 수입량이 전월대비 5.8% 증가하였지만 약 4개월간 적정한 공급 상황을 보였고, 프랜차이즈 및 창고형 매장 등에서의 꾸준한 수요와 환율 상승으로 강세를 보였다. 목전지 포함 앞다리의 12월 수입량은 전월대비 8.6%가 증가하였지만 최근 수개월간 큰폭의 공급 감소와 꾸준한 수요, 환율 상승 등의 영향이 반영되며 추가 강세를 보였다. 국내 도매유통가격은 전주대비 유럽산 냉동삼겹살 및 일반전지, 미국산 목전지가 상승하였다.
※ 1월 13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구이류는 대형마트에서 1월초 할인행사에도 불구하고 소비수요가 약해 미판매 재고가 많이 남아 발주가 중단된 상황이며, 정육점 및 외식에서의 수요도 여전히 부진한 상황으로 덤핑 판매 또는 냉동생산 비율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육류에서 전지는 급식납품이 중단되고 일반 수요도 약해 냉동생산이 더욱 늘어났으며, 등심은 추가 가격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없어지며 강보합세로 전환되었고 후지는 여전히 꾸준한 수요를 보였다. 갈비는 최종 수요가 아직 크지 않으나 명절 준비수요로 인해 강세가 이어졌다. 1월 1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 이 122원/kg 하락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전지가 하락하였다.
▶수입산 냉장 구이육은 외식소비가 계속 부진하며 개선되지 못하는 가운데 1월 둘째주 수입량이 많이 늘어나 대형마트 및 온라인에서 할인행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냉동 구이육은 프랜차이즈 및 창고형 매장 등에서 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지난 약 4개월간 수입량이 많이 감소하여 공급 상황이 개선되었기 때문에 환율 상승 영향이 가격에 반영되며 강세를 보였다. 목전지 포함 앞다리도 아직은 예년 대비 재고가 많은 편이지만 최근 수개월간 큰폭의 공급 감소와 꾸준한 수요,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 도매유통가격은 전주대비 유럽산 냉동삼겹살이 추가 상승하였다.
※ 1월 20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구이류는 대형마트에서 할인행사 진행 및 예정에 있으나 월초 미판매 재고가 많이 남아 발주가 저조하였으며, 정육점과 외식에서의 수요도 최악의 부진을 보임에 따라 냉장육 재고 적체가 심화되며 냉동생산이 더욱 증가하였다. 정육류에서 전지는 급식납품이 중단되고 일반 수요도 약해 일부 냉동생산이 이어졌으며, 등심은 강보합세가 유지되었고 후지는 여전히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갈비는 LA갈비식 명절 수요로 인해 강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등갈비는 비싼 가격으로 인해 예년 명절수요 보다 약세를 보였다. 1월 2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이 5원/kg 상승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삼겹살이 하락하였고 갈비가 상승하였다.
▶수입산 냉장 구이육은 대형마트 및 온라인 할인행사가 진행되었으나, 공급 감소로 축소 진행되었다. 냉동 구이육은 프랜차이즈 및 창고형 매장 등에서 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1월 공급은 전월 대비 증가추세이나 지난 수개월간 공급이 감소하였고 최근 독일에서 구제역 발생으로 수입금지 조치가 내려져 가격이 큰폭으로 추가 상승하였다. 목전지 포함 앞다리도 전월대비 공급이 다시 증가하였으나, 꾸준한 수요와 원달러 환율 약세 등의 시장상황에 독일산 수입금지 영향이 더해지며 강세를 나타냈다. 국내 도매유통가격은 전주대비 냉동삼겹살이 큰폭 상승하였고, 냉동목심 및 목전지, 목뼈도 상승하였다.
※ 1월 27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구이류는 셋째주에 일부 대형마트 할인행사 진행에도 미판매 재고가 남았으며 넷째주에 진행되는 또 다른 대형마트 할인행사에도 기존 미판매 재고 처리에 집중하며 발주가 거의 없었다. 정육점 및 외식으로부터의 수요도 역대급 부진을 보임에 따라 냉장육 적체는 한층 심화되었으며 냉동생산 비율도 더욱 증가하였다. 정육류에서 전지는 급식납품이 중단되고 일반 수요도 약해 일부 냉동생산이 계속되었으며 등심은 강보합세가 유지되었고, 후지는 여전히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갈비도 명절이 가까워지며 수요가 약해져 냉장육은 가격을 인하하여 판매 처리하는 모습이었다. 1월 3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이 42원/kg 하락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전지가 하락하였다.
☞소비자심리지수(출처 한국은행)
- '25년 1월 91.2로 전월보다 3.0포인트 상승...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 등 반영
-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경기에 대한 판단이나 전망 등을 조사하여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100을 기준으로 초과 시 긍정 전망, 미만 시 부정 전망
◆ 이달의 일별 돼지고기(삼겹살) 소비자 가격 추이
- 국산 냉장, 수입은 냉동 100g당 중품 가격(바로가기)
◆ 재고동향(출처 축산물품질평가원, 바로가기)
- '24년 11월 돼지고기 재고 동향(단위 톤, %): 12,310톤(전월대비 2.5%, 전년대비 -30.6%).....7개월 만에 증가 전환
◆ 월별 돈육수입량 추이
- 식약처 수입축산물 부위별 검사 통계(단위 만 톤)/수입식품정보마루(바로가기)
- '25년 1월 돼지고기 수입량 29,939톤(전월대비 19.3%, 전년대비 -25.8%)
◆ 한돈팜스 사용 농가의 월별 분기별 생산 성적(출처 대한한돈협회)
◆ 향후 6개월 사육 및 출하 전망(한돈미래연구소, 단위 두, %)
◆ 분기별 사육두수 추이(바로가기)
◆ ASF 실시간 현황판(바로가기)
- 농식품부 구제역·ASF·AI 홈페이지(바로가기)
- 구제역·ASF·AI 발생현황 지도(바로가기)
- 돼지와사람 ASF 발생현황 지도(바로가기)
◆ 해외곡물 가격동향(바로가기)
- aT 식품산업통계정보 국제곡물정보(바로가기)
◆ 달러환율추이(바로가기)
◆ 유가변동추이(바로가기)
◆ 농업관측정보(바로가기, 돼지, 한육우, 젖소, 산란계, 오리는 분기보, 육계는 월보, 국제곡물, 해외축산)
◆ 도축장별 축종별 도축실적(바로가기)
- 도축장 현황 및 도축실적(바로가기)
◆ 축종별 배합사료 생산실적(바로가기)
- 월별 배합사료 생산 및 가격 통계(바로가기)
- 양돈용 배합사료 생산실적(단위 천 톤)
- '24년 12월 양돈용 배합사료 생산량 642천톤(전월대비 3.6%, 전년대비 1.7%)
- '24년 12월 양돈용 배합사료 평균 가격(원/kg) 721원(전월대비 -0.1%, 전년대비 -2.8%)
◆ 동물용의약품 통합검색(바로가기)
- 통합검색에서 업체별, 품목별 검색
- 한국동물약품협회 제품명 검색(바로가기)
◆ 가축전염병 연도별 발생 통계(바로가기)
- 법정가축전염병 발생현황(바로가기)
- 법정가축전염병 발생통계(바로가기)
- 해외가축전염병 발생동향(바로가기)
◆ 동물 및 축산물 검역통계(바로가기)
-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현황
◆ 연도별 축산물 생산비(바로가기)
- 국가통계포털에서 '비육돈'으로 검색(전년도 생산비 다음해 5월 발표)
◆ 스마트한 축산통계(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바로가기)
- 축산업 생산액, 사육두수 및 호수, 생산성, 생산비, 수입실적, 도소매 가격 등